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이용수  6

영문명
Strategic Direc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Adult Learning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안수경(Soo-kyung An)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된 현대 교육환경에서 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특성과 실생활 맥락을 반영하여 디지털 도구 활용, 데이터 활용, 디지털 윤리, 디지털 학습 등 네 가지 핵심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지표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참여 역량과 책임감을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방법적으로 자기평가지 평가 모형과 진단도구 개발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폭넓게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인 학습자이며, 자기보고식설문을 통해 각 영역의 자기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초 기능에 대한 자신감은 높으나 활용 역량은 중간 수준에 머물렀다. 응용 능력과 기술 선택 능력에서는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다. 정보 리터러시는 접근·이해는 가능하나 고차원적 판단과 분석 능력은 부족했다. 디지털 윤리에서는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인식 등에서 높은 책임감을 보였다. 학습 자원 활용에는 익숙하지만 자기주도 학습 역량은 보완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기초 기술을 넘어 실생활 응용, 플랫폼 활용,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성, 윤리성을 통합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정책적으로 디지털 격차 해소와 포용 실현을 위한 체계적 지원과 정기평가·갱신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수행 기반 평가와 질적 접근을 병행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ssess adult learners’ digital literacy inan educational environment rapidly transformed by the digital society. Theframework reflect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eal-life contexts, comprising fourdomains: digital tool use, data utilization, digital ethics, and digital learning. These indicators evaluate both participation capacity and responsibility in digital environments. A broad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self-assessment models and diagnostic tool development was conducted. Adultlearners participated, and self-reported surveys measured perceived competence ineach domain. Findings show high confidence in basic skills but intermediateapplication ability, with notable differences in applied skills and technologyselection. Information literacy revealed adequate access and comprehension butinsufficient higher-order evaluation and analysis. In digital ethics, learners showedstrong awareness and responsibility, especially in personal data protection andcopyright. Although resource use was familia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neededimprovement.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basic skills to integrate real-lifeapplication, platform use, problem-solving, self-direction, and ethics. Policy shouldaddress the digital divide, promote inclusion, and ensure systematic programevaluation and renewal. Future research should combine performance-based andqualitative approaches for deeper analysi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수경(Soo-kyung An). (2025).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사회과학리뷰, (), 23-45

MLA

안수경(Soo-kyung An). "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사회과학리뷰, (2025):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