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종시민의 코로나블루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Determinants of Corona Blue among Residents of Sejong City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정윤태(Yun-Tae Jung) 이주열(Ju-Yul Lee) 이지나(Ji-Na Lee)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575~5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 팬데믹은 단순한 감염병 위기를 넘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심리적·정서적 불안과 고립감을 초래하였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감염병의 장기화와 그에따른 거리두기, 사회적 단절, 경제적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코로나블루’로 명명되는 우울 현상이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대처 이론, 집단위협 인식 이론, 수용전념치료(ACT)와 감염병 트라우마 이론을 적용하여 코로나블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감염의 두려움, 감염병 스트레스, PTSD 경험, 정부 및 지자체 대응 평가,사회복지서비스 욕구 등의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2021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세종특별시에서 진행된 783명의 면접조사 응답자료를 SPSS 24.0을 사용해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염병 스트레스가 코로나블루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정부 대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코로나블루를완화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을수록 코로나블루 수준도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 경제활동 상태, PTSD 경험 또한 코로나블루 수준에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감염병 재난에 대한 사회심리적 대응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적으로 감염병 스트레스가 높은 감염된 환자 및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이 진행되어야 하며, 정부는 국민에게 정부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정책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COVID-19 pandemic has not only posed a public health crisis butalso triggered widesprea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he variouspsychosocial responses, “Corona Blue”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phenomenonin South Korea, referring to a collective sense of depression, anxiety, and isolationinduced by prolonged social distancing, uncertainty, and economic instability. Thisstudy aims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Corona Blue amongadult residents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 region characterized by itsrelatively young, highly educated, and public sector-oriented population. Drawing ontheoretical frameworks including the stress and coping theory, perceived collectivethreat theory, and trauma-informed approaches such as Acceptance andCommitment Therapy (ACT), this study explores how factors such as perceivedinfection threat, pandemic-related stress, prior trauma experience (PTSD), trust ingovernment responses, and welfare service needs contribute to emotional distress. Data were derived from a face-to-face survey of 783 adults conducted in October-November 2021.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andemic-related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orona Blue. Trust in governmentresponses served as a protective factor, while higher welfare service needs wereassociated with greater emotional distress. Gender, employment status, and pasttraumatic events also showed differential impact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for regionally tailored mental health policies and integrated welfare interventions toaddress accumulated emotional burdens in the post-pandemic era. This study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dimensions of pandemic-related depression in local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윤태(Yun-Tae Jung),이주열(Ju-Yul Lee),이지나(Ji-Na Lee). (2025).세종시민의 코로나블루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사회과학리뷰, (), 575-595

MLA

정윤태(Yun-Tae Jung),이주열(Ju-Yul Lee),이지나(Ji-Na Lee). "세종시민의 코로나블루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사회과학리뷰, (2025): 575-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