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산양육지원제도가 청년 임금근로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Childbirth and Childcare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Wage Workers: Focusing on Policy Effects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송지현(Ji-Hyeon Song) 김민수(Min-Soo Kim) 김영웅(Young-Woong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471~5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세대 임금근로자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삶의 만족 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이에 출산·양육지원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 24차 자료를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세대 임금근로자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두 개의 잠재 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직무 중심의 저수준 삶의 만족 집단’과 ‘전반적으로 고수준의 삶의 만족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영역별 삶의 만족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에 대한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수가 많을수록 ‘전반적-고수준 삶의 만족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하진 않았다. 본 연구는 출산·양육지원제도의한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책적 함의로는 출산·양육지원제도의 대상자 요건을 확대하고, 제도 시행으로 인한 사업장 내 업무 공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체인력 채용지원 서비스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life satisfaction in various areas among wage workers of the youth generation and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ertility-childcare support systems on this. Therefore, to achieve the study's purpose, the 24th Korea Labor Panel data were used, and athree-step approach of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applied using the Mplusstatistical program. Looking at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through this approach, firstly, the latent profiles of life satisfaction in various areasamong youth generation wage worker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setwo groups were named the 'Job-low-level life satisfaction group' and the'Overall-high-level life satisfaction group'. Secondly, upon examining the influenceof fertility-childcare support system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th generationwage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fertility-childcare supportsystems provide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Overall-high-levellife satisfaction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OR=1.09, p>.05),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propose expanding policy provisionsallowing unstable youth generation wage workers. In addition, we proposestrengthening support services for recruiting replacement workers to minimize jobvacancies resulting from the use of the fertility-childcare suppor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지현(Ji-Hyeon Song),김민수(Min-Soo Kim),김영웅(Young-Woong Kim). (2025).출산양육지원제도가 청년 임금근로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 471-500

MLA

송지현(Ji-Hyeon Song),김민수(Min-Soo Kim),김영웅(Young-Woong Kim). "출산양육지원제도가 청년 임금근로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2025): 471-5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