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기가정 지원에서 ‘위기’와 ‘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당사자와 실무자의 인식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How Are “Crisis” and “Recovery” Defined in Crisis Family Support?: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Between Service Recipients and Practitioners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양호정(Ho-Jung Yang) 이준엽(Joon-Yup Lee) 이용우(Yong-Woo Lee)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501~5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기가정 지원사업에 참여한 당사자와 실무자가 인식하는 ‘위기’와 ‘재기’의 의미를비교·탐색하고,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굿네이버스 위기가정 재기지원사업 6차연도 참여자 중 위기가정 당사자 9명과 실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및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당사자는 ‘위기’를사회적 관계 단절과 일상생활 이탈을 시작으로 다양한 문제가 누적되어 삶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로인식하였다. ‘재기’는 심리·정서적 회복과 경제적 자립을 통해 수급상태를 벗어나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반면 실무자는 ‘위기’를 공적 지원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긴급하고 복합적인 문제로 정의하였으며, ‘재기’는 일상 복귀와 경제활동 재개, 자립 가능성의 확보로 인식하였다. 특히 실무자들은 당사자의 구체적인 목표와 역량, 의지를 재기의 조건으로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제적 위기가정 개입 체계 구축, 재기 개념의 다차원적 재정의, 당사자의 주관적 위기 감각을 반영한 개입 및평가 기준의 유연화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recipients and practitioners in a crisis recoverysupport program define “crisis” and “recovery,” with the goal of deriving practical andpolicy implications. Participants were nine recipients and seven practitioners from thesixth-year cohort of the Goodneighbors’ Crisis Family Recovery Support Program. Data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analyzed using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cipients perceived crisis as an unbearable state ofaccumulated hardship caused by broken social ties and disrupted daily routines, whilerecovery meant psychological restoration and financial independence, ultimately markedby leaving public assistance. Practitioners viewed crisis as complex, urgent situationsoverlooked by the public support system, and recovery as the resumption of daily andeconomic life, emphasizing recipients’ goals, capabilities, and will. The findingsunderscore the need for an early crisis detection system and for redefining recovery as amultidimensional process. Policy should reflect recipients’ subjective experiences andexpand family support to encompass not only economic stability but also psychologicaland social recovery.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호정(Ho-Jung Yang),이준엽(Joon-Yup Lee),이용우(Yong-Woo Lee). (2025).위기가정 지원에서 ‘위기’와 ‘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당사자와 실무자의 인식 비교. 사회과학리뷰, (), 501-526

MLA

양호정(Ho-Jung Yang),이준엽(Joon-Yup Lee),이용우(Yong-Woo Lee). "위기가정 지원에서 ‘위기’와 ‘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당사자와 실무자의 인식 비교." 사회과학리뷰, (2025): 501-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