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rogram Development Strategies to Enhanc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I Competencie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최대훈(Dea-Hun Choi)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3호, 841~8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확산에 따라 요구되는 교원 핵심역량의 재정의 맥락에서, 현직 유아교사의 AI 역량 수준과 교육적 요구를 진단하고 AI 역량 강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 요소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바탕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유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기술통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개방형 문항은 내용분석으로 범주화하고, 교직 경력 5년 이상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3개 집단 FGI를 실시하여 질적 심층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AI 개념 이해, 인간 - AI 관계 인식, AI 윤리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나 AI 활용 역량은 낮아 인지-실천 간 격차가 확인되었다. 개방형 문항 분석과 FGI 결과 프로그램은 통합형 설계(별도 과목 지양, 관찰-분석-수업안-평가 흐름 내 내재화), 체험·실습·프로젝트 중심의혼합형 운영, 포트폴리오·산출물 시연·적용 발표의 수행평가, 그리고 윤리·개인정보·저작권-수업자료 제작-아동 발달 데이터 분석의 내용 삼각 축이 핵심으로 도출되었다. 더불어표준 지침·검수 체크리스트·사후 코칭·실천 커뮤니티·정기 업데이트와 같은 지속 가능한지원 체계, 기관 차원의 인프라·시간 배정이 확산 조건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기초(개념·윤리) - 실습(자료·데이터) - 적용(놀이·평가)의 단계적 모듈과 표준화된 운영·평가·지원 체계를 결합한 근거 기반 연수 프레임워크를 제안함으로써, 유아교육 맥락에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AI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라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Amid calls to redefine core teacher competencies in the era of generativeAI,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I competency levels and educational needs and identify the core components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D) program to strengthen those competencies. Building on prior research,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80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indices (Cronbach’s α) were calculated. Open-end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8 teachers (≥5 years of experience) to derive in-depth qualitative insights. Findings indicated relatively high levels ofAI conceptual understanding, human-AI relationship perception, and AI ethics awareness, but a lower level of AI utilization competency, revealing a gap between awareness and classroom practice. Synthesizing the open-ended and FGI results, the proposed PD should adopt an integrated design (embedding AI within the existing cycle of observation-analysis-lesson planning-assessment), experiential/project-based blended delivery,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portfolio, product demonstration, and classroom application). The recommended content triad comprises ethics/privacy/copyright, AI-based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ment, and child developmentdata analysis. In addition, standard guidelines, verification checklists, post-training coaching, practitioner communities, and periodic updates, supported by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time allocation,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scaling. By proposingan evidence-based, modular PD framework — Foundations (concepts/ethics) - Practice (materials/data) - Application (play/assessment) — this study provides baselineevidence to support safe and sustainable AI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가치교육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컨설팅 참여 경험
- 설명 담화 쓰기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어휘, 구문 및 결속표지 특성
- 초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출제 경향 분석
- 재가 요양보호사의 근로 현실과 처우개선에 관한 소고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센터 소재지에 의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푸드테크 외식서비스 지속수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기술친숙도 기반이항로짓모형 접근
- 헌법상 노인의 보건권
- 보건・의료계열 지역인재의 취업을 위한 이동현황 분석
- 현직 유아교사의 AI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 탐색
-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 기반 행동중재 효과: 단일사례연구
- 국내 특수가연물 관리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 팀 활동 중심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와 학습자의 인식
- 세종학당 정책의 형성과 변화: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 경력단절여성의 가족지지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현행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 자율운항선박 시대 해양경찰 교육수요 분석과 우선순위 도출
- 돌봄스트레스가 부모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자본의조절효과: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를 중심으로
- 청소년활동 진흥 조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 영유아교사의 음악교수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빅카인즈를 활용한 ‘부모코칭’ 관련 국내 언론보도 분석
- 부모의 부부갈등과 양육방식이불안취약 유아와 불안안정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세종시민의 코로나블루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마이크 코르닉의 《라틴 피아노 듀엣 1권》에 나타난중급 피아노 교수방안 연구
- 교재·교구 활용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 탐색
- 위기가정 지원에서 ‘위기’와 ‘재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당사자와 실무자의 인식 비교
- 출산양육지원제도가 청년 임금근로자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출산·양육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영향: 우울 및 신체화 증상의 연속다중매개효과
- 초등학생의 ADHD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식습관, 생활습관, 가족환경 및 성별 중심으로
- 독거노인의 디지털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 웹툰 전공자의 표준현장실습학기제 참여 경험이진로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학생 전담 국제대학 설치 현황과 제언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공격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정보화수준이 디지털활용역량과 인공지능역량 및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원과 교수의 서번트 리더십이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Kingdon모형을 적용한 군 평생교육 정책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영향 요인
- A Study on High-flex Education Methods Through Comparison of Flipped Learning Between Face-To-Face Learning and Real-Time Zoom Classes: A Case Study of a Chosun University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지원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헨리 게하르트 아펜젤러의 교육사상
- 대학생의 군 복무 이후 제적 시점별 특성
- 주디스 버틀러의 취약성의 윤리학과 사회복지실천
- 여가제약이론에 기반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가정책 인식과정책 우선순위: IPA 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행정조사의 범죄수사 이행 문제에 대한 고찰 - 해상검문검색 중심으로
- OTT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 관련 보도 변화에 미친 영향
- 성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
- 성인학습자의 학습 참여와 학업 지속 동기 탐색 연구
- 학교는 죽음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