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권자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과 신소유자의 유치권소멸청구 - 대상판결 :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19다295278 판결

이용수  3

영문명
The Lien Holder’s Breach of Duty of Care and the Subsequent Owner’s Claim for Extinguishment of Lien - The Subject Judgment : Supreme Court 2023. 8. 31. Decision 2019da295278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김덕중(Deok-Jung Kim)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45권 제3호, 435~4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유치권자가 채무자의 승낙 없이 유치물을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임대한 경우, 유치권 소멸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특히 유치권자의 사용이 유치물 보존을 위한 사용인지, 유치권의 본래 목적을 벗어난 사적 이익 추구인지에 따라 법적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대상판결은 유치권자가 약 4년간 제3자에게 유치물을 무단으로 임대한 사실만으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과 유치권 소멸을 인정하였다. 대법원은 기존 판례에서 무단 사용과 무단 임대를 구별하여, 무단 사용의 경우 점유 목적, 사용 기간, 유치물 관리 상태 등 구체적 사정을 종합적으로 심리해 판단해 왔다. 반면 무단 임대는 유치권자가 제3자에게 점유를 이전하는 행위로, 유치권의 본질을 침해하는 중대한 위반으로 보고 원칙적으로 금지해 왔다. 대상판결도 이러한 입장에 따라 무단 임대의 외형만으로 유치권 소멸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후 대법원 판례는 무단 임대라 하더라도 임대 목적, 유치물 관리 상태, 임대료 수수 여부 등 구체적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단순히 임대 외형만으로 유치권 소멸을 기계적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아, 예외적 판단을 허용한 바 있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구체적 심리를 거치지 않고 유치권 소멸을 곧바로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이 부분 판단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대상판결은 무단 임대가 종료된 후 유치물을 취득한 신소유자도 유치권소멸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는 제3취득자에게도 소멸청구권을 인정한 최초의 판례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소유권 이전만으로 형성권적 권리인 유치권소멸청구권이 자동으로 승계된다고 본 대상판결의 해석은 민법상 형성권 비승계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 유치권소멸청구권은 신소유자가 자동으로 승계하는 권리가 아니며, 소멸청구권의 귀속 여부는 유치물 관리 상태, 유치권 남용 위험, 손해 발생 가능성 등 구체적 사정을 심리해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소유자 보호와 유치권의 담보 기능은 균형 있게 조화되어야 하며, 유치권소멸청구권의 발생 요건과 귀속 구조는 보다 엄격하고 명확하게 정리될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은 유치권 남용을 신속히 제재하였다는 점에서는 일정 부분 의미가 있으나, 소유권 이전만으로 소멸청구권을 기계적으로 승계시킨 점과 구체적 심리를 생략한 점은 법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lien holder’s unauthorized use or lease of retained property without the debtor’s consent constitutes grounds for extinguishment of the lien under Korean law. The analysis focuses on whether such conduct serves the preservation of the property or improperly pursues the lien holder’s private interests. The Supreme Court decision under review found a breach of the duty of care and extinguishment of the lien solely based on the unauthorized lease to a third party for approximately four years. Previous Supreme Court decisions have distinguished unauthorized use from unauthorized lease. Unauthorized use has required detailed consideration of specific factors such as the purpose of possession, duration of use, and the property’s management status. Unauthorized lease has generally been strictly prohibited as it transfers possession to a third party and undermines the lien’s essential function. However, later decisions have indicated that even in unauthorized leases, the lien holder’s purpose, property management, and rent collection must be comprehensively assessed. The decision under review did not consider these factors and mechanically concluded the extinguishment, which is questionable. The decision also recognized that a subsequent owner who acquires the property after the unauthorized lease has ended may exercise the claim for extinguishment of the lien. This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ruling to explicitly grant this right to a subsequent owner. However, the view that the claim automatically transfers with ownership conflicts with the principle that formative rights do not automatically succeed upon ownership transfer under Korean civil law. Whether a subsequent owner may exercise this right should be carefully assessed based on the management status, the risk of lien abuse, and the potential harm. The requirements and legal structure of the extinguishment claim must be clarified with stricter standards to balance lien protection and owner rights. While the decision has significance in promptly addressing lien misuse, its mechanical acceptance of the claim’s transfer without thorough legal review is not appropriate.

목차

[사안의 개요]
Ⅰ. 사실관계
Ⅱ. 소송의 경과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유치권자의 선관주의의무 위반에 관한 판단
Ⅲ. 신소유자의 유치권소멸청구 인정 여부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덕중(Deok-Jung Kim). (2025).유치권자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과 신소유자의 유치권소멸청구 - 대상판결 :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19다295278 판결. 법학논총, 45 (3), 435-464

MLA

김덕중(Deok-Jung Kim). "유치권자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과 신소유자의 유치권소멸청구 - 대상판결 :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19다295278 판결." 법학논총, 45.3(2025): 435-4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