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national Subsidies and State Responsibilit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민한빛(Hanbit Mi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45권 제3호, 325~36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중 패권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팽창적 대외정책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를 통해 자국의 산업 공급과잉을 해소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미국 및 EU는 초국경보조금 조사 확대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초국경 보조금은 전통적 보조금과는 달리 보조금 공여국과 수출국이 다른 것을 전제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 보조금 개념을 전제로 수립된 WTO 보조금협정이 초국경보조금 규율에 있어 구조적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조금 공여국과 수출국이 상이한 상황에서, 초국경보조금 공여 행위의 국가귀속 및 국가책임 문제를 WTO 보조금협정을 통해 적절히 규율할 수 있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WTO 보조금협정과 ILC국가책임협약 초안을 토대로 미국 및 EU의 초국경보조금 규제 논리 타당성 분석과 함께 초국경보조금의 국제법적 규율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초국경보조금 규제를 위해 미국과 EU가 도입하고 있는 법리를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재정적 기여의 주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초국경보조금 공여 행위를 수출국에 귀속시키기 위한 논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국경보조금 공여 행위의 국가귀속 문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초국경보조금에 적용되는 국가귀속 원칙을 검토하기 위해, 관습국제법인 ILC국가책임협약 초안에 규정된 정부권한 행사 기준과 특별법인 WTO 보조금협정에 규정된 영토적 통제 기준간의 적용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ILC국가책임협약 초안 제11조를 적용하여 초국경보조금 공여 행위를 수출국에 귀속시킬 수 있을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국경보조금에 대한 국가책임 문제를 검토하였다. 특히, WTO 보조금협정을 통해 초국경보조금에 대한 국가책임 추궁이 가능한지 살펴보기 위해, 초국경보조금의 특정성 요건 충족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As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tensifies, the U.S. has strengthened its checks on China’s increasingly aggressive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the U.S. and the European Union alike expand CVD investigations into transnational subsidies, as China pursu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s as a strategy to resolve its domestic industrial excess capacity. However,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ransnational subsidies, unlike traditional subsidies, is that transnational subsidies assume subsidizing country and exporting country are different. This divergence may impose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WTO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hereinafter ‘WTO SCM Agreement’) when it is applied to transnational subsidies. Therefore, it is of importance to examines whether the WTO SCM Agreement can adequately regulate transnational subsidies, especially regarding attribution and State responsibility issues caused by transnational subsidy measur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legal rationale behind the U.S. and EU CVD investigations into transnational subsidies and reviews whether transnational subsidies can be regulated under international law. Firstly,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frameworks developed by the U.S. and the EU to regulate transnational subsidies. In order for that,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 interpretation on the subject of financial contribution, as well as the legal rationale to attribute the transnational subsidy-granting acts to the exporting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ores the attribution issue of transnational subsidies. In order to examine applicable attribution principles, this paper reviews the governmental authority principle under the ILC Draft Articles on Responsibility of States for Internationally Wrongful Acts a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the territorial control principle prescribed in the WTO SCM Agreement as a lex specialis. In addition, this paper looks into whether transnational subsidy-granting acts can be attributed to the exporting country by applying the ILC Draft Article 11. Lastly, this paper addresses the state responsibility issue of transnational subsidies. This paper, in particular, examines whether transnational subsidies can satisfy the specificity requirement under the WTO SCM Agreement, as it is closely linked to the invocation of state responsibility for such subsidies.
목차
Ⅰ. 서론
Ⅱ. 미국과 EU의 초국경보조금 국가책임 법리 검토
Ⅲ. 초국경보조금의 국가귀속 검토
Ⅳ. 초국경보조금에 대한 국가책임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설공사 수급인의 공사대금채권 포기의 효력
- 진정명의회복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법적 성격
- 실체적 확정력의 본질과 근거
- 경찰영장검사(警察令狀檢事) 제도 도입을 위한 선결문제 및 입법 제안
- 국민건강보험과 실손의료보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금융소비자 보호와 비급여항목 개선을 중심으로
- 팬데믹협정의 국제법적 고찰 - 내용, 의의와 한계
- 안전한 체육행사 개최를 위한 법적 연구 - 「국민체육진흥법」상 체육행사 안전관리조치를 중심으로
- 가명정보의 법적 쟁점과 법익 형량에 관한 검토
- 초국경보조금의 국가책임 문제 연구
- ‘인도에 반하는 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ILC 조문초안의 검토와 과제
- 유치권자의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과 신소유자의 유치권소멸청구 - 대상판결 : 대법원 2023. 8. 31. 선고 2019다295278 판결
- 임의경매의 효력과 부당이득반환청구 - 대상판결 : 대법원 2023. 7. 27. 선고 2023다228107 판결
- 지방의회 서류제출 요구 관련 쟁점 연구 -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2추5149 판결 평석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제45권 제3호 목차
- 누적적 근저당 개념의 허부 및 공동근저당과의 구별 기준에 관한 소고
- 헌정관행과 수도-서울
- 형사소송법상 경찰 단계에서의 수사종결처분과 통제방안
- 전자정보 압수 방식과 무관정보 처리에 관한 법적 고찰
- 준특수강도죄의 ‘특수’의 존재 시기 - 절취행위에 가중적 행위태양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