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ing Law Education as a Liberal Arts at the Undergraduate Level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오태곤(Taekon Oh)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585~5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 로스쿨 제도가 도입된 이후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이 축소되면서, 대학생들의 법적 소양과 민주적 역량 함양이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교양 법학 교육의 기능을 재조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의 교양 법학 교육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양 법학 교육은 단순한 법 지식 전달을 넘어 ‘리걸 마인드’ 함양이 중요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참여형 교육, 인접 학문들과 접근을 통한 융합형 교육, 학생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양 법학 교육은 민주 시민 역량 강화에 핵심적인 요소로 ‘교육 목표 재정립, 혁신적 교육 방법 도입, 디지털 기술 활용, 융합형 교육 추진, 학생 맞춤형 교육 제공, 교수자 지원 강화, 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한 교육 기반 마련’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in Korea, legal education has been reduced as a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ies, which threatens the development of legal literacy and democratic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reexamine the function of legal education as a liberal arts and seek ways to improve it,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f legal education as a liberal arts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legal education as a liberal arts requires not only the transmission of legal knowledge, but also the cultivation of a ‘Legal Mind’, participatory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vergent education through access to adjacent disciplines,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as a liberal arts, legal education is a key factor i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democratic citizens, and the report suggests the following as improvement measures: redefining educational goals, introduc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promoting convergent education,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for students, strengthening instructor support,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education foundation by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외 교양 법학 교육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또래관계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사회복지사의 전공선택동기, 직업인식, 자기조절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전공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탄소중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리듬기반 음악중재가 느린학습자 아동의 청각주의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우울을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H-5AL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보육학개론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신체건강, 자존감, 사회적위축과 학업열의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
- 노마드 체육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체력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의 그릿, 부모감독, 학업스트레스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AI 기반 5E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 헌법재판소 재판관 탄핵에 대한 제언
- 보호자 관점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자기옹호가 거주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자아효능감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의 내용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질 및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 노인의료복지시설 만족도 영향 요인: 시설 규모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ight Security Personnel
- AI시대의 영성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도덕적 분별력을 중심으로
- 위기가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 영향요인
-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 사회 공정성 및 공정성 유형 인식과 집단 간 불평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성인 학습자의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대체인력지원사업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다문화 아동 부모의 부모효능감 유형과 예측 변인 - 아동의 학교적응과의 차이 검증
- 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GAD)가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 노인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viation Security Screening Officers
-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자체 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부모요구분석
- 과정중심 영어글쓰기 활동에서의 AI 피드백 활용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