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ived Meanings of K-MOOC among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소라(Sora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423~44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대해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문헌고찰과 심층인터뷰의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K-MOOC는 학습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K-MOOC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7명의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첫째, K-MOOC의 학습성과 및 경험과 그 의미에서는 직업적 전문성 향상과 제2의 직업탐색, 효율적인 학습법,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자신감 상승,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의 역할과 효과 영향력에 대한 결과 ‘진정한 나’를 찾고, 배움의 동반자이자 커리어 획득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사 제도의 유연화와 성인학습자의 연령에 맞는 지원책 확대 및 다양화, 온라인 플랫폼 수업의 한계점 타파 등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 성인 학습자의 지식 편차를 줄이고 평생교육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ived meanings of K-MOOC (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 among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adopted, incorporating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K-MOOC is an online platform that provides diverse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adult learners who had prior experience with K-MOOC courses.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and experiences,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s in professional competencies, exploration of second career paths, adoption of 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and challenges with interaction. Second, regarding the perceived roles and effects of K-MOOC, participants described it as a means of discovering their “true self,” a companion in lifelong learning, and a tool for career development. Third,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lexible academic systems, expanded and diversified support tailored to adult learners’ age and circumstances, and strategies to overcome limitations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These insights highlight the potential of K-MOOC to reduce knowledge disparities among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and to serve as a vital component of lifelong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라(Sora Kim). (2025).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리뷰, 10 (2), 423-444

MLA

김소라(Sora Kim).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리뷰, 10.2(2025): 423-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