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 영향요인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Labor Rights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박선주(Sunju Park) 조한라(Hanra Cho)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347~3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관점에서 노동권 요소(안전과 보건, 직업선택의 자유, 고용증진과 적정임금, 교육권)가 노동권 보장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인의 노동권 강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일자리 유형’의 참여 노인 339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8.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적 권리인 ‘안전과 보건’은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권적 권리인 ‘고용증진과 적정임금’, ‘교육권’은 참여자의 노동권 보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교육권은 실질적으로 노동권 보장인식에 기여하고 있는 가장 큰 핵심 요소로 나타났다. 넷째, 통제변수인 ‘인권교육 여부’는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 노인의 노동권 실현을 위한 사회적 노력과 노인의 권리에 대한 인식 제고, 노동권 보호 관리체계 구축, 노동권 교육 체계 마련에 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bor rights elements(safety and health, freedom of occupational choice, employment promotion and fair wages, right to education) on the perception of labor rights guarantee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and to seek alternatives for strengthening the labor rights of elderly people. To this e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8.0 on the response data of 339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Job Type’ of the Elderly Job Cre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awareness of labor rights. Second, the individual right ‘safety and health’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ird, the social rights of ‘employment promotion and fair wages’ and ‘education rights’ were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labor rights guarantee. In particular, the right to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re factor that actually con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labor rights guarantee. Fourth, the control variable ‘whether or not human rights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elderly participants’ perception of labor rights guarantee.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regarding social efforts to realize the labor rights of the participating elderly, raising awareness of the rights of the elderly, establishing a labor rights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ing a labor rights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또래관계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사회복지사의 전공선택동기, 직업인식, 자기조절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전공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탄소중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리듬기반 음악중재가 느린학습자 아동의 청각주의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우울을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H-5AL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보육학개론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신체건강, 자존감, 사회적위축과 학업열의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
- 노마드 체육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체력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의 그릿, 부모감독, 학업스트레스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AI 기반 5E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 헌법재판소 재판관 탄핵에 대한 제언
- 보호자 관점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자기옹호가 거주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자아효능감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의 내용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질 및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 노인의료복지시설 만족도 영향 요인: 시설 규모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ight Security Personnel
- AI시대의 영성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도덕적 분별력을 중심으로
- 위기가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 영향요인
-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 사회 공정성 및 공정성 유형 인식과 집단 간 불평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성인 학습자의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대체인력지원사업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다문화 아동 부모의 부모효능감 유형과 예측 변인 - 아동의 학교적응과의 차이 검증
- 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GAD)가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 노인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viation Security Screening Officers
-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자체 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부모요구분석
- 과정중심 영어글쓰기 활동에서의 AI 피드백 활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