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an SEL Assessment Tool in the Context of a College Choir Clas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혜진(Heyji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505~5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합창 수업이 대학생의 사회·정서 역량(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을 측정하는 데 있어 활용 가능한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C지역 S대학교에서 합창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SEL의 다섯 가지 하위영역인 자기 인식, 자기 조절, 사회적 인식, 관계 기술, 책임 있는 의사결정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내적 일관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해당 도구가 예술 기반 수업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작동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술 활동을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SEL 측정 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비교나 질적 자료를 포함한 다면적 접근을 통해 예술 기반 수업의 교육 효과를 보다 폭 넓게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iability of a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college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competencies within the context of a choir class offered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 total of 104 students enrolled in a choir course at S University in the C regi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ocusing on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cross all five SEL subdomains—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skills,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demonstrating that the instrument functions reliably in an arts-based instructional setting.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use of SEL assessment tools in college-level arts-integrated education and underscore the value of embedding SEL within higher education curricula. Future research is encouraged to employ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such as pre-post comparisons and qualitative methods, to further investigate the multifaceted educational impacts of arts-based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또래관계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사회복지사의 전공선택동기, 직업인식, 자기조절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전공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탄소중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리듬기반 음악중재가 느린학습자 아동의 청각주의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우울을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H-5AL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보육학개론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신체건강, 자존감, 사회적위축과 학업열의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
- 노마드 체육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체력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의 그릿, 부모감독, 학업스트레스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AI 기반 5E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 헌법재판소 재판관 탄핵에 대한 제언
- 보호자 관점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자기옹호가 거주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자아효능감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의 내용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질 및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 노인의료복지시설 만족도 영향 요인: 시설 규모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ight Security Personnel
- AI시대의 영성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도덕적 분별력을 중심으로
- 위기가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 영향요인
-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 사회 공정성 및 공정성 유형 인식과 집단 간 불평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성인 학습자의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대체인력지원사업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다문화 아동 부모의 부모효능감 유형과 예측 변인 - 아동의 학교적응과의 차이 검증
- 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GAD)가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 노인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viation Security Screening Officers
-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자체 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부모요구분석
- 과정중심 영어글쓰기 활동에서의 AI 피드백 활용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