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이용수  0

영문명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22 Korean Youth Life Survey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미정(Mijeong Kim) 양정빈(Jungbin Yang)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369~3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신건강증진과 자살 위험 완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원자료 중 청년 1인 가구 5,355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고 경험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신체 건강·정서적·사회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토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주요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우울 수준, 삶의 만족도, 행복감, 건강 인식, 흡연 여부, 사회적 관계가 자살사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과 흡연은 자살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삶의 만족도, 행복감, 긍정적인 건강 인식, 사회적 관계는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년 1인 가구의 자살 예방을 위해 정서적 안정성 향상,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사회적 연결망 강화라는 세 가지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and mitigating suicide risk.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Korean Youth Life Survey, a subsample of 5,355 individuals living alone was extracted and analyzed. Suicidal ideation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based on emotional, health-related, and social characteristic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subsequently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depression leve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smoking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particular, depression and smoking emerged as primary risk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uicidal ideation, whereas life satisfaction, happiness, positive health perception, and social connections functioned as protective factors reducing the ris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ntegrated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ree core areas: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fostering a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to prevent suicide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Mijeong Kim),양정빈(Jungbin Yang). (2025).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사회과학리뷰, 10 (2), 369-388

MLA

김미정(Mijeong Kim),양정빈(Jungbin Yang).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사회과학리뷰, 10.2(2025): 369-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