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럽의 임시직 고용과 노동시장 성과

이용수  0

영문명
Temporary Employment and labour Market Performance in Europe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명숙(LeeMyungSook) 송병국(Byeongkug Song)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2호, 280~31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0년대 중반 실업을 퇴치하기 위하여 도입된 임시직 고용은 유럽의 고용의 형태를 특징지울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총고용에서 임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나라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추세를 단정하기는 어려운듯하다. 임시직은 청소년과 미숙련근로자에게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지만 이들 근로자들은 다양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다양한 직업과 부문에서, 그리고 규모의 대소에 관계없이 공공부문과 민간기업에 고용되어 있다. 임시직의 증가의 원인은 실업의 증가, 경기침체 및 고용보호의 정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임시직 근로자는 임금 및 기타 부가급여와 근무여건에 있어서 정규직 보다는 불리하지만 크게는 뒤지지 않고 있다. 임시직의 근속기간이 상대적으로 잛은 것 이외, 임시직 일수록 더 많은 교육훈련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이런 기회가 적게 주어지고 있다. 시사점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직업의 안전성이 낮은 임시직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으로, 임시직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보다는 정규직에 대한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정규직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제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emporary employment contracts introduced in many European countries during the 1980s in order to combat high and persistent levels of unemployment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European labour markets. However, as the share of temporary jobs in total employment i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t seems difficult to specify general trends. Temporary jobs are disproportionately held by younger and less educated workers, as well as those employed in low-skill occupation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temporary employment, temporary workers are diverse group and they work in a wide range of sectors and occupations, and for both public and private firms of all sizes. The causes of the rise of temporary jobs are likely to stem from an increase in unemployment, recession and employment protection laws. Temporary workers' wage and fringe benefits appear to be lower than their counterparts' those in permanent jobs in some cases. But they, including working conditions, are not always less than the benefits permanent employees enjoy. Besides the tenure of temporary workers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in permanent jobs, they have less opportunity to access to education and training. As a way both to increase the labour market flexibility and to reduce temporary jobs that hurt job stability, we could suggest a labour market policy to relax regulations related to permanent jobs rather than to protect temporary contract workers in order for employers not to perceive it burdensome to employ permanent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임시직 근로에 대한 기존연구 및 특징
Ⅲ. 임시직의 추세, 증가원인 및 실업
Ⅳ. 임시직 근로자의 임금, 직무만족 및 근무조건
Ⅴ. 임시직 근로자의 근속년수 및 노동이동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숙(LeeMyungSook),송병국(Byeongkug Song) . (2005).유럽의 임시직 고용과 노동시장 성과. 국제지역연구, 9 (2), 280-313

MLA

이명숙(LeeMyungSook),송병국(Byeongkug Song) . "유럽의 임시직 고용과 노동시장 성과." 국제지역연구, 9.2(2005): 280-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