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Us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심 장선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497~5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활용하여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울 지역의 초·중등 교사2,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관심단계(Stages of Concern)에 따른 인식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0~7단계로 구분되는 교사들의관심은 주로 0~3단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특히 운영(3단계)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초보적 사용자’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보(1단계)보다 개인(2단계)이 높은 역전현상(Negative One–Two Split) 구조와, 재조정(6단계)에 대한 관심이 다시 상승하는 꼬리 올리기(Tailing Up) 현상이 함께 관찰되었다. 또한 교사 배경에 따라 교원 인식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연령대와 같은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I 기반 맞춤형 교육 관련경험(연수 및 연구학교 참여,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AI 기반 맞춤형 교육 관련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무관심(0단계)의 비중이 낮은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CBAM을 활용하여 교사 인식 구조를 세분화하고, AI 기반 맞춤형 교육 관련 교원 연수 설계와 실행 중심의 지원 방안 마련에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 04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their perception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cross the Stages of Concern (SoC).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concerns were primarily concentrated in Stages 0 to 3, with Stage 3 (Management) being the most prominent, indicating a general tendency toward the “inexperienced user” profile. Additionally, a Negative One–Two Split—where Stage 2 (Personal) exceeded Stage 1 (Informational)—and a Tailing Up pattern at Stage 6 (Refocusing) were observed, suggesting that teachers experience both a sense of burden and critical engagement with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teachers’ background such as gender and age, while prior experience with AI-related training, research school participation, or graduate-level AI convergence programs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tage 0 (Unconcerned).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s by segmenting their SoC profiles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policy-driven training programs and implementation-focused support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