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on Teacher Attri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 Focus on Studies from 2018 to 2024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류성창 신창기 김유정 김갑성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3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초·중등 교사의 교직 이탈 및 이직 의도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현황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제공하는 RISS 사이트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결과 학위 논문 11편, 학술지 논문 16편의 총 27편의 연구물이 선정되었다. 연구 주제는 총 세 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교직 이탈 의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50%), 그 다음으로 ‘교직 이탈 관련 연구’(33%), ‘교사의 이직 경험에 관한 연구’(17%)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중 2023년도 이후 교직 이탈에 관한 연구가 62.5%를 차지할 정도로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직 이탈의 복합적 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경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교직 이탈을 예방하고, 교직 환경 개선과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trends in research on teacher attrition conducted in South Korea between 2018 and 2024. It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teacher attrition, along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by examining not only teacher attrition but also teachers’ intentions to change profession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RISS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27 research papers, which included 11 dissertations and 16 journal articles. The select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rimary topics: 'Research on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50%), 'Research on teacher attrition' (33%), and 'Research on teacher turnover experiences' (17%). Notably, research on teacher attrition has surged since 2023, constituting 62.5% of the total studies, suggests the need to explore the underlying causes of this phenomenon. As a countermeasure, it is recommended that researchers conduct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eacher attrition, develop targeted policy measures, provide career-stage-specific support to prevent attrition, and focus on improving both the teaching environment and societal perceptions of the teaching profess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