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이용수 11
- 영문명
- What Shapes Teachers’ Intentions to Leave and How They Stay in the Teaching Profess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 임선빈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381~4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교직이탈 관련 논의가 심화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교사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교직이탈 의도를 형성하게 되고, 교직이탈 의도를 가진 교사들은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조직의 구성원이 불만족을 느낄 때 그들의 반응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EVLN(Exit, Voice, Loyalty, Neglect) 모형을 적용하여 교직이탈 의도를 가진 교사들의 반응 매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직 사회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적 문화, 불충분한 외재적·내재적 보상, 그리고 정당한 교육활동에 대해 보호받지 못하는 제도에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이런 불만에 대한 행동 반응으로 교사들 은 교직이탈 의도를 형성하고 이직 준비를 하거나 실제 이탈하기도 했고(Exit), 조직 내부와 외부에서 변화를 위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Voice). 때로는 주어진 직무에 충실히 임하기도 했으나(Loyalty), 최소한의 직무만 수행하거나 소극적으로 직무에 임하기도 하였고 동료 교사들과 교류를 줄이기도 하였다(Neglect). 따라서 교사들이 보이는 이같은 징후들에 주목하여 그에 적절한 개입과 대안이 마련되어 우수한 교사들이 교직에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phenomenon that teachers’ intention to leave school has been intensified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d what shapes teachers’ intentions to leave and how they stay in the teaching profession. For this, EVLN(Exit, Voice, Loyalty, Neglect) theory, which explains the response behaviors of individual with dissatisfaction in organization, was adopted to analyze the response mechanisms of teachers with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individualistic culture prevalent in the teaching profession, the insufficiency of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rewards, and the lack of institutional protections for legitimate educational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se dissatisfactions, teachers tended to form turnover intentions and either prepared to leave or actually exited the profession (Exit); some raised their voice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to advocate for change (Voice); others remained loyal by continuing to fulfill their assigned duties (Loyalty); and some engaged minimally with their work, performed their tasks passively, or reduced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Neglect). Recognizing these behavioral signals among teachers, it is essential to devise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alternatives to help retain high-quality teachers and ensure their stable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