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Reforms in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선 전제상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91~2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자질을 무엇으로 규정하고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현 교원승진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해 현직 교원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국․공립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승진임용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원승진임용제도의 정책 기여도, 평정항목의 타당성, 평정요소 항목의 타당성, 평정항목의 평정요소 배점의 적정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장의 핵심역량과 인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역량평가 도입에 대해 ‘동의한다’에 가까운 인식을 보여주었다. 교원승진임용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근무성적평정에서 평정자와 확인자의 공정성 및 신뢰성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승진임용제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교장 역량평가를 도입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성적 지표라는 점에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로는 ‘학교장에게 필요한 역량 교육이나 훈련의 기회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터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있어 타당성의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교장의 직무와 역량을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는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심의 자격연수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학교장의 전문적 기준(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을 표준화 및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by examining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teacher promotion system. To this end,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in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total of 2,363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yielding a response rate of 0.64%.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current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is perceived positively in terms of its policy contribution,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oring distribution among evaluation factors. Nevertheless,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gree with the introduction of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that can verify a principal’s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 The most significant issue identified in the current system was a lack of fairness and reliability on the part of evaluators and reviewers in performance evaluation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 principal competency assessment, the greatest concern was the potential for subjectivity due to the qualitative nature of the evaluation criteria. Nonetheless, the most anticipated benefit was the provi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tailored to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school princip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oposed.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it is essential to clearly define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school principal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d systematize professional standards for principals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s that reflect the demands of school leadership.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선,전제상. (2025).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191-215

MLA

김지선,전제상.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191-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