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 최규선 김남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519~5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사교육 분야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의 인지적, 정의적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교사교육에서의 PBL 활용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학술 및 학위 논문 35편에서 118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한 뒤 인지적 및 정의적 영역과 조절변인(처치 기간, 집단 크기, 발간 시기, 구성원의 동질성, 학제 간융합 여부, 학습 환경)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BL은 0.870의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면서 교사교육 분야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인지적 변인은 중간에서 큰 효과크기를, 정의적 변인은 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조절변인 분석에서는처치 기간이 9~12주일 때, 학문 계열 중 특수통합교육에서, 융합 맥락에서, 2020년 이후 출간된 연구물이, 처치 집단의 크기가 30명 이상 60명 미만일 때, 처치 집단 구성원이 동질적일수록 효과적이었다.
반면, 학습환경(오프라인, 온·오프라인 병행)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서 PBL의 활용이 효과적이라는 결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사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에는 학기 단위로 충분한 적용 기간을 확보하고, 유사한 배경을 지닌30~60명 규모의 학습자 집단을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통합교육이나 학제 간융합형 주제를 중심으로 PBL을 설계할 경우,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정의적 영역에서 큰 효과크기가 확인되므로 교사의 자기인식과 교수 효능감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나 교사교육과정 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PBL의 구조적 특성과 학습자들의 정의적 성장을함께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장 기반 적용과 실천적 적용 모형 개발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s a meta-analys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eacher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its impa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traits.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easibility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implementing PBL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 total of 35 academic articl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24 were analyzed, yielding 118 effect sizes.
These effect sizes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sub-variables,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xamined based on moderating variables, including treatment duration, group size, publication year, group homogeneity,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overall effect size of PBL was found to be 0.833, indicating a substantial impact and affirming its effectiveness in teacher education. Cognitive variables exhibit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while affective variables predominantly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with teacher and teaching efficacy showing particularly pronounced effects. Regarding moderating variables, the highest effectiveness was observed in interventions lasting 9–12 weeks, in the context of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and when PBL was applied in interdisciplinary contexts. Studies published after 2020, treatment groups comprising 30–60 participants, and homogeneous group compositions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ivenes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concer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offline versus blended learning).
This study provides critical insight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BL in teacher education. Specifical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ptimal treatment duration (9–12 weeks) and group size (30–60 participants) and advocates for the furtherer application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particularly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Given the substantial impact of PBL on the affective traits, its active incorporation into teacher training programs is strongly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VI.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