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류병곤 이수정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299~32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효과 분석결과,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6개의 직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풍토를 매개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직접효과(=.058, p<.05), 간접효과(=.067, p<.01), 총효과(=.125, p<.001)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협력을 매개로 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직접효과(=.058, p<.05), 간접효과(=.022, p<.01), 총효과(=.080, p<.01)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풍토와 교사협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의 직접효과(=.058, p<.05), 간접효과(=.118, p<.001), 총효과(=.176, p<.001)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발휘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학교풍토를 조성하고, 교사들이 협력할 수 있는 구조적·문화적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Using data from the 2022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six direct path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Specifically,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β= .058, p < .05), indirect effect (β = .067, p < .01), and total effect (β = .125, p < .001) on teacher efficacy through the mediation of school climate. Likewi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lso showe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β = .058, p < .05), indirect effect (β = .022, p < .01), and total effect (β = .080, p < .01) on teacher efficacy through the mediation of teacher collaboration. Furthermore, the sequential mediation path, in which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d teacher efficacy through both school climate and teacher collabor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rect (β = .058, p < .05), indirect (β = .118, p < .001), and total effects (β = .176, p < .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ercis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ritical for principal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They also imply that fostering an open and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as well as creating struc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at support teacher collaboration, are essential strategies for promoting teacher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병곤,이수정. (2025).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299-328

MLA

류병곤,이수정.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299-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