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이용수 6
- 영문명
- Exploring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Seoicho Incid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현 신다희 엄문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교사의 교직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소진과 직무만족을 교직 태도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잠재집단분류와 전이확률, 예측요인을 탐색하였다.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1차년도(2021)부터 3차년도(2023)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과 잠재전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태도 잠재집단은 긍정적인 교직 태도, 중간 교직 태도, 부정적인 교직 태도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부정적인 교직 태도 집단의 비율이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2년에서 23년으로의 교직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교사의 교직 태도는 전반적으로 유지되거나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연령에 따라 교직 태도의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수준에서의 교직 태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학교 단위에서의 교사정서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지원, 교원에 대한 개별화된 심리 상담 프로그램 확대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eachers' attitude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Seoicho incident. We classified teachers' attitude latent classes and explored the transition probability for the latent classe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2021) to the third year (2023)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Elementar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attitude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positive, middle and negative teachers’ attitudes, and the proportion of the negative teaching attitude group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examining the change in teacher attitudes from 2022 to 2023, teachers' attitudes were generally maintained or moved in a negative direc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hange in teaching attitude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ystematic management of teacher attitudes at the national level, support for operating programs for emotional healing of teachers at the school level, and provision of individualized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fo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