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Teacher's Identity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Focusing on the Life of a Teacher Dispatched to a Direct Institu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조정윤 김도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67~1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가 교사로서 정체성 위기를 극복하고 자전적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체성을 탐색해 나가는 과정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 근무 경험은 연구 참여자가 유지해 오던 정체성이 교사 정체성과 담당 교과의 학문적 위상을 동일시하는, 교사 정체성에 대한 일종의 고정관념에 기반한 것이었음을 깨닫고 이를 성찰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내러티브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 나감으로써 정체성 위기를 극복하고 발전적인 자기 이해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존재 의미는 교과 지도와 교실에서의 전문성을 넘어서는 것으로서 교육적 관계의 본질과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과 경험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해가는 관계 속에서 확인된다는 것을 깨닫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 정체성을 탐색하며의식의 성장을 보인 개인의 경험과 내면을 진솔하게 묘사하고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심도 있게 기술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는 역동적이고 서사적인 과정을 드러내었으며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교과의 위상과 동일시하는 시각이 중등교사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성찰을 제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사뿐 아니라 일반 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교과 전문성을 넘어 교육과 인간 이해에 대한 실존적 고민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교사 정체성 탐색 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가 갖는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가 스스로를 성찰적으로 인식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들 개개인의 내밀하고 진솔한 이야기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highligh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identity crisis as a teacher and exploring a new identity using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he experience of dispatching a direct institu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fact that the identity maintain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based on a kind of stereotype about the teacher identity that equates the teacher identity wit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in charge.
Participant in the study tried to overcome the identity crisis and acquire developmental self-understanding by telling her stories through narrativ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meaning of a teacher's existence goes beyond subject guidance and expertise in the classroom and is confirmed in a relationship that shares experiences with students and grows together based on the essential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human understanding.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onestly describes the individual's experiences and inner feelings that showed the growth of consciousness while exploring teacher identity, and in-depth describes the life of dispatched teacher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e dynamic and narrative process in which teacher identity is formed, and confirmed that the perspective of equating a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ith the status of the subject can limit in-depth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 identity of teachers.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existential concerns about education and human understanding beyond subject expertise are nee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not only secondary school teachers but also general teachers.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usefulness of narrative inquiry as a method of searching for teacher identity.
Therefore, in order for teacher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n identity, they need to listen to each teacher's intimate and sincere sto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