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Exploring the Causes of Teacher Burnout: Focusing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원 이혜나 정혜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247~2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사의 소진을 초래하는 원인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진을 경험하였거나 현재 소진 상태에 놓여 있는 경기도 지역 초·중등교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소진의 원인으로 첫째, 공교육의 시장 논리화로 인해 학교와 교사가 서비스 제공자로 인식됨에 따라 서비스 마인드가 강조되는 현실에서 교사는 감정노동자로서 정체성을 가지며, 무리한 요구와 민원이 주는 피로감으로 인해 소진되고 있었다. 더욱이 분란을 조장하는 성과급 제도, 경쟁을 부추기는 관리자, 학교장 재량이라는 이름으로 늘어난 학교와 교사의 책임 및 업무의 과중으로 인해 소진되고 있었다. 둘째, 낮아진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교권 추락을 실감하고, 실제 교권침해를 경험하면서 소진되고 있었다. 셋째, 급격한 교육정책의 변화는 교사들에게 업무 증가로 이어져 더 나쁜 상태의 무기력을 가져오면서, 정책 변화에 무관심하게 만들고 있었다. 특히, 교육현장을 배려하지 않은 채 상명하달식으로 내려오는 지침(공문)으로 인한 불필요한 업무의 증가는 교사들에게 무의미하다고 느껴지기에 분노의 감정을 유발하며, 끝내 소진되어 교육활동에도 상당한 지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인적·문화적·구조적 변화는 교사의 소진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는데, 다양한 세대의 공존으로 인한 “끼인 세대”의 고충, 개인주의적으로 변해가는 교직문화와 각자도생의 문화, 정서적·심리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학생들의 증가는 교사의소진을 초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교사의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존중의 회복, 교육정책 수립 과정에서의 교사 참여 보장, 교사의 집단적 효능감을 제고할 수 있는 협력적 학교문화의 구축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 causes of teacher burnout within the context of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or its prevention and alleviation.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ten teachers from Gyeonggi Province who had either experienced burnout or were currently experiencing it.
The findings revealed three major causes of teacher burnout. First, the marketization of public education has led to schools and teachers being perceived as service providers, emphasizing a service mindset. In this context, teachers have come to identify as emotional laborers, and the excessive demands and complaints from parents (stakeholders) have resulted in significant fatigue and burnout. Additionally,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competition-driven school management, and increased responsibilities and workload under the discretion of school principals further contributed to burnout. Second, the decline in the social status of teachers has led to a tangible sense of weakened teacher authority, with many teachers experiencing direct violations of their professional rights, thereby exacerbating burnout. Third, rapid and frequent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have increased teachers’ workloads, leading to a sense of helplessness and fostering apathy toward policy initiatives. Particularly, the top-down issuance of administrative directives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realities of schools has resulted in a rise in unnecessary tasks, causing greater anger, burnout, and significant disruption to educational activities. Finally, changes in the demographic, cultural, and structural aspects of schools have also contributed to burnout. The struggles of teachers of the “sandwiched generation” caught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the shift toward a more individualistic school culture, a survival-of-the-fittest school atmosphere, and the growing number of students with ADHD, school violence issues,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have all intensified teacher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toring social respect for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expertise, ensuring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olicy-making process, and fostering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at enhances teachers’ collective efficacy in order to prevent and alleviate teacher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