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Motivation: The Mediating Role of Collaborative Culture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하은호 오혜근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동기 중 기대, 공정성,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의 직무동기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협력문화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분석했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경로계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했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1차년도에 참여한 2,418명의 교사를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직접효과의 경우 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기대와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과 유의미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대, 자기효능감 순으로 경로계수가 컸다. 둘째, 간접효과의 경우 직접효과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던 공정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정성, 기대, 자기효능감 순으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총 효과의 크기는 공정성, 기대, 자기효능감 순으로 경로계수의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사들이 기대하는 성과기대와 보상기대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 성과에 따라 보수를 차등 지급하는 성과연봉제의 도입, 바람직한 협력문화의 형성과 운영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work motivation—specifically expectancy, fairness, and self-efficacy—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collaborative culture. Utilizing data from the 2020 Seoul Teacher Panel Study (Wave 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applied to responses from 2,418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first, that while fairnes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expectancy and self-efficacy did.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expectancy and self-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indirect effects through collaborative culture, fairness— previously nonsignificant in the direct path—exhibited a significant effect, with the relative strength of indirect effects ranked as fairnes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Third, the total effects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were strongest for fairness, followed by expectanc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ing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to enhance performance and reward expectations, implementing a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promoting a desirable collaborative culture with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은호,오혜근. (2025).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109-136

MLA

하은호,오혜근.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10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