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이용수  3

영문명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University Faculty’s Job Satisfaction Profile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경애 이윤수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55~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학 교수는 교육, 연구, 행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역할별로 직무 만족 수준 또한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며, 유형별 조직 몰입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2023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과정 교수 설문조사(NAFET)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3,073명의 응답 자료가 사용되었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결과, 교육 및 전반적 저만족형, 저(低)평균 만족형, 교육·연구 중심형, 급여·제도 중심형, 전반적 고만족형의 5개 프로파일이 식별되었다. 예측 요인으로는 개인 특성 요인(연령, 정년트랙, 학내지위), 교육 요인(교육성과에 대한 보상과 지원), 연구 요인(연구실적 보상 및 연구 활동 지원), 행정 요인(공정성, 시설 및 행정체계)을 포함하였다. 각 요인은 프로파일에 포함될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프로파일 간 조직 몰입 수준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고, 프로파일별 맞춤형 지원 전략 수립에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job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faculty, examine the predictors associated with each profile, and analyz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ross the identified profiles. Data were drawn from the 2023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xperience in Teaching (NAFET),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comprising responses from 3, 073 faculty member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revealed five distinct profiles: (1)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2) low-average satisfaction, (3) teaching- and research-oriented, (4) compensationand policy-oriented, and (5) high overall satisfaction. Predictors includ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age, tenure track status, academic rank), teaching-related factors (i.e., support for educational outcomes and teaching), research-related factors (i.e., rewards for research performance, support for research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factors (i.e., erceived justice, quality of facilities, administrative systems). All predi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profi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경애,이윤수. (2025).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55-82

MLA

임경애,이윤수.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5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