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이용수 3
- 영문명
-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University Faculty’s Job Satisfaction Profile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임경애 이윤수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55~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 교수는 교육, 연구, 행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역할별로 직무 만족 수준 또한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며, 유형별 조직 몰입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2023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과정 교수 설문조사(NAFET)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3,073명의 응답 자료가 사용되었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결과, 교육 및 전반적 저만족형, 저(低)평균 만족형, 교육·연구 중심형, 급여·제도 중심형, 전반적 고만족형의 5개 프로파일이 식별되었다. 예측 요인으로는 개인 특성 요인(연령, 정년트랙, 학내지위), 교육 요인(교육성과에 대한 보상과 지원), 연구 요인(연구실적 보상 및 연구 활동 지원), 행정 요인(공정성, 시설 및 행정체계)을 포함하였다. 각 요인은 프로파일에 포함될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프로파일 간 조직 몰입 수준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고, 프로파일별 맞춤형 지원 전략 수립에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job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faculty, examine the predictors associated with each profile, and analyz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ross the identified profiles. Data were drawn from the 2023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xperience in Teaching (NAFET),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comprising responses from 3, 073 faculty member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revealed five distinct profiles: (1)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2) low-average satisfaction, (3) teaching- and research-oriented, (4) compensationand policy-oriented, and (5) high overall satisfaction. Predictors includ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age, tenure track status, academic rank), teaching-related factors (i.e., support for educational outcomes and teaching), research-related factors (i.e., rewards for research performance, support for research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factors (i.e., erceived justice, quality of facilities, administrative systems). All predi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profi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