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n analysis of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태원 이아현 김수연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411~4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여 실효성 있는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인천광역시 관내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82명의 응답을 학교급과 경계선지능 학생에 대한 인식 수준을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학급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교사는 1.69명, 중학교 교사는 2.02명이 경계선지능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경계선지능 학생 대상의 교육활동은 초등학교 교사가 상대적으로 더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조기 선별과 적기 중재와 관련하여 학교 차원의 지원 수준이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주체별 역할 수행에 관한 숙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가정과의 연계 및 협력 부족, 경계선지능 학생 맞춤 지도의 어려움, 전문적-체계적 시스템 부족의 부족을 경계선지능 학생 지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끝으로, 교사들은 경계선지능 학생에 대한 지원이 가족 지원과 복지 지원을 포함하여 확대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필수 교육 및 사회 인식 개선, 교사와 학부모 간의 소통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실행, 학교 안팎을 연계한 다층지원체계 도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support approache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by investigating teachers’ instructional experiences and perceived support need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Incheon. A total of 982 responses were analyzed, considering school level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BI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perceived students with BIF per class was reported as 1.69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02 by middle school teachers.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mplementing a broader range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se students. Second, teachers perceived school-level support as insufficient, particularly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timely interven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clarifying and reinforc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ubjects involved in supporting students with BIF. Third, the major challenges identified by teachers included a lack of collaboration with families, difficulties in providing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the absence of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framework. Lastly, teachers expressed strong needs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s for students with BIF, including family and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suggested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ing social awareness for students with BIF, implementing policie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establishing a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 that integrates in-school and out-of-school resour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태원,이아현,김수연. (2025).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411-435

MLA

임태원,이아현,김수연.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411-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