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Mixed-Methods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articipant Experience of the Student-Centered Integrated Support Training Program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신윤정 /Yun-Jeong Shin 1 , 정규연 2 , 박소영 3 , 엄문영 /Eom, Moon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329~3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맞춤통합지원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실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연수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에 참여한 91명을 대상으로 향상된 역량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양적연구 이후, 질적연구를 진행하는 순차적 설명설계를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는 대응 표본 t검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활용하여 양적연구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생활지도 관련 교사 효능감, 개인적 교사 효능감 중 생활지도 효능감, 직업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반응성 중 관점수용, 개인적 고통 그리고 학생 맞춤 통합지원 종합 역량 중 교육, 상담 역량이 사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질적연구 결과, 해당 연수는 정책에 대한 이해도 증진, 학교 내 연수 진행의 측면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운영시간과 방식 및 풍부한 예시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는 참여자들의 직급이나 성별과 무관하게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합적 지원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해졌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수의 운영 방식 개선과 실질적인 사례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맞춤통합지원의 효과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Centered Integrated Support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elated training in improving job performance competencies.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was employed, combining quantitative analysis (pairedsample t-tests) with follow-up qualitativ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s) involving 91 participants. Quantitativ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t-training improvements in teacher efficacy (particularly in student guidance), vocational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activity (perspectivetaking, personal distress), and competencie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Qualitative findings supported these results, noting increased understanding of relevant policies and training effectiveness in school settings, while also identifying needs for improved scheduling, delivery methods, and practical examples. The training proved effective regardless of participants’ rank or gender, deepening understanding of the Student-Centered Integrated Support and enabling more effective school-based interventions. Further enhancement through case-based content and refined structure could maximize its impa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윤정 /Yun-Jeong Shin 1 , 정규연 2 , 박소영 3 , 엄문영 /Eom, Moonyoung . (2025).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329-358

MLA

신윤정 /Yun-Jeong Shin 1 , 정규연 2 , 박소영 3 , 엄문영 /Eom, Moonyoung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329-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