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이용수 3
- 영문명
- Toward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aradigms in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인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83~1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비 한국어 교사의 증가 및 교사 국적의 다양화와 함께 고등교육기관, 세종학당, 국립국어원 등에서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설계하면서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주제도 풍성하게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의 보급과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은 한국어 교사의 양적 규모화, 질적 내실화, 집단 상향 평준화에 달려 있으므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어떻게 발전시키면 효과적일지에 대한 학술적 담론도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는 일은 자연스럽다. 특정 한국어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교육 모형 제안과 같은 대동소이한 연구들이 매우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으나 한국어 교사 교육의 본질, 즉, 한국어 교사 교육의 패러다임과 같은 본격적인 이론적 탐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 교육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그동안 국내외에서 교사 교육 패러다임, 외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과 관련된 선행 논의를 고찰함으로써 사변적으로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의 현위치와 발전 방향(수행 기준 기반의 교사 교육 패러다임)을 시론해 보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 공론화 장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한국어 교사 집단 질적 향상과 집단 상향 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enhanc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ital for the prolif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levation of educational standards, hinges upon the comprehensive internalization and collective refin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Consequently, the effective cultiva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tands as a pivotal focus. While extant research has actively engaged in propos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odels tailored to specific cohorts of Korean teachers, a rigorous and in-depth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the essence of Korean teacher education, i.e., the paradigm governing it, remains notably absent. This research undertakes a nuanced examination of the prevailing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aradigm. Drawing up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encompass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teacher education paradigm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 education paradigms, this study proffers a paradigm grounded in performance standards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inquiry lies in its provision of a platform for public discourse o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aradig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a novel orientation for its future developmen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사 교육 패러다임의 개념
Ⅲ. 교사 교육 패러다임 유형학
Ⅳ. 외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 유형학
Ⅴ. 새로운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제언
VI.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