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y of musical concepts us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곽진이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277~29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여부를 확인하고, 숙달 프로파일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3,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12명이었고,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였으며, OxEdit 9.04를 사용하여 개념별 숙달 확률을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확률을 산출한 결과, 개념별 숙달 확률에는 차이가 있었고, 숙달한 개념 수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비율도 상이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확률을 바탕으로 산출한 숙달 프로파일 유형은 총 105개였고, 숙달한 음악 개념의 수는 동일하더라도 프로파일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총점이 같더라도 문항반응패턴에 따라 숙달한 음악 개념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음악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비유아 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에 대한 면밀한 진단을 기반으로 개별적인 숙달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in musical concept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lassify their attribute profiles. The participants were 5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t three-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data evaluated through a cognitive diagnostic model-based test,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was calculated with OxEdit 9.0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in musical concepts varied across different concepts, and the propor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cepts they had mastered. Second, based on the calculated prevalence of attribute mastery, a total of 105 distinct attribute profiles were classified. Even with the same number of mastered concepts, the types of profiles varied, and despite identical total scores,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pecific musical concepts mastered depending on item response patter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ustomized musical education considering each individual's attribute mastery profile, based on detailed diagnostic information,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during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진이. (2025).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 (2), 277-297

MLA

곽진이.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2.2(2025): 277-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