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eacher Burnout: Application of PLS-SEM and Importance–Performance Map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성 박성민 차정민 홍세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37~1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사소진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PLS-SEM을 적용하여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IPMA를 통해 요인들의 중요도와 성과도를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교사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20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1,054명의 초등교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업무부담감은 교사소진에 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는 교사소진에 부적 효과를 보였다. 또한, 업무부담감이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교사소진을 높이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생활지도 효능감은 업무부담감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교수전략 효능감과 학습동기부여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IPMA 분석 결과 교사소진을 낮추기 위해 생활지도 부담감, 학부모 상담 부담감, 행정업무 부담감이 우선하여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교사의 직업 만족도와 사회적 지위 인식의 성과도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교사소진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교육 분야에서 많이 적용되지 않은 PLS-SEM과 IPMA 분석을 적용하였다는데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eacher burnout has recently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issue. Using PLS-S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teacher burnout and to identify priority areas for intervention through an importance–performance map analysis to inform prevention efforts. Using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20), responses from 1,05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work overloa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whereas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Moreover,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burnout.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demonstrated a buffering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burnout, while teacher efficacy in student engagement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showe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The IPMA results indicated that the burden of student guidance, the burden of parent consultation, and administrative workload were priority areas for intervention to reduce teacher burnout. Furthermore, teachers reported low levels of performance on certain item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tatus, indicating a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enhance teacher well-being.
This study provides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eacher burnout and identifies specific areas for prioritized improve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PLS-SEM and IPMA, which are rarely used in education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교사 정체성 탐색: 교육청 직속기관 파견교사의 삶을 중심으로
- 교사 소진의 원인 탐색: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교사교육 분야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 교수의 직무 만족 유형에 따른 조직 몰입 수준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적용
- PLS-SEM을 적용한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탐색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
- 한국어 교사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 간의 관계: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 교원승진임용제도 개선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과 교사효능감 차이 분석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개념 숙달 특성 분석
-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학교장 변혁적 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경계선지능 학생에 관한 교사의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과 중학생의 일상적 디지털 기기 활용의 관계 분석
- 교사들은 왜 교직이탈 의도를 갖게 되고 어떻게 교직에 머무르고 있는가?
- 한국 중등학교 IB 도입: 교사들의 기대, 도전과제 및 전문성 개발 방안 연구
-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풍토가 교사의 수업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 초·중등 교직 이탈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8년-2024년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