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Post-human Trend Analysis: Focusing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99~4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들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포스트휴먼이 가져오는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연구가 등장한 2002년부터 최근 2018년 2월까지의 포스트휴먼 연구물을 분석하여, 총 2,027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포스트휴먼 키워드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서 세계를 새롭게 인식하고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도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최근에 이를수록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넘어서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대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야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다른 분야에 비교하여 교육학 분야에서는 비교적 한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에서는 인간에 대한 재정의와 함께 교육 주체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through post - human related researches and draws implications for post - human education. Therefore, we analyzed post human studies from 2002 when post human research emerged until February 2018, and collected a total of 2027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t Human Keyword has a new view of the wor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long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yearly studies, it was found that post - human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subject of human - non - human coexistence beyond the fusion of human and machin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areas in this field, it has been relatively limi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fields and has not excee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important to redefine the human be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look at and understand the subject of education in a new w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