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23
- 영문명
- Maternal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Digital Device Use by Toddlers : Difference between Electronic Picture Book and Other Digital Devic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미 김소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291~3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스마트 기기 사용 환경에 따라 교육적 콘텐츠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전용 기기활용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에 주목하였다. 이에 영아기 어머니의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아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 0∼2세 영아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어머니는 전자책 활용 시 장점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시력저하와 감각적 자극 추구 선호를 우려하였다. 둘째, 영아기 어머니는 전자책 전용 기기 사용에 대해 일반 디지털 기기보다 사용시간 제한 규칙을 적용하는 여부와 사용허용 시간의 측면에서 보다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취업모는 디지털 기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고, 전업모의 일반 디지털 기기 사용 허용시간이 더 길었다. 넷째, 어머니가 갖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교육적 효과기대는 전자책 전용 기기에 대해 사용시간 제한 규칙을 허용적으로 적용하는 태도와 정적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일반 디지털 기기 사용 허용 시간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hers held different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s their toddler's use of devices for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other digital devices in the context of a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300 mothers who had a toddler aged from 0 to 2 years and were using electronic picture book services for their child.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ositively perceived the merits of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their influence on their child's development, whereas they held concerns about bad eyesight and pursuit of sensual stimulus by the child. Second, mothers tended to be less restrictive in their child using devices for electronic picture books compared to other digital devices. Third, compared to unemployed mothers, employed moth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digital devices and were more generous in their child's use of them. Fourth, time limits placed on a child's use of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other digital devices were associated wit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digital de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