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Society and Human in the Picturebooks 『The Little House』: Focusing on Felix Guattari’s Ecological Philosoph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미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 지구의 생태적 위기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 회복에 대한 희망을 보여주는 그림책『작은 집 이야기』를 펠릭스 가타리 생태철학의 관점으로 자연 사회 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1942년 미국에서 출판되어 1993년 국내에서 번역된 버지니아 리 버튼(Virginia Lee Burton)의 그림책『작은 집 이야기』를 분석하여 자연과 사회의 관계, 사회와 인간의 관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따른 각각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과 사회의 관계 흐름은 자연의 생명에 순응하는 방식을 ‘지나’, 자연 환경 파괴로 인한 회색 도시화를 ‘넘어’, 종속관계가 해체된 새보금자리 ‘로’ 이어졌다. 사회와 인간의 관계 흐름은 생명가치를 향한 근원적인 희구를 ‘지나’, 사회관계 분열로 인한 인간 가치 공동체 상실을 ‘넘어’, 인간과 사회 간의 색다른 공동체 생성 ‘으로’ 나아갔다. 끝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 흐름은 유기적이고 순환적인 조화를 ‘지나’, 자연과의 단절로 인한 그리움을 ‘넘어’, 이제 다시 자연과의 만남 ‘으로’ 지속되었다. 이를 토대로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 사회 인간의 경계를 허물고 횡단하는 철학적 윤리적 사유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현장은 이러한 사유와 실천을 생성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society, and human, from the viewpoint of Felix Guattari`s ecological philosophy, in the picturebook 『The Little House』 which shows hope for the restoration of nature and human relationship in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present earth. The picturebook 『The Little House』 by Virginia Lee Burto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in 2012, was analyzed to reveal each subcategor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between society and human, and between human and society.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in the picturebook 『The Little House』 has passed through the way of adapting to the life of nature, became a gray urbanization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ed to a new nest where the dependency was dismantled. The flow of relations between society and humans has passed through the fundamental diligence toward the value of life; the human value community has been lost due to the division of social relations, and a different community has been created between humans and society. Finally,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has passed through an organic and cyclical relationship, longing to be disconnected from nature, and now, it has continued to flow back to na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based on this, human consciousness and spiritual awakening are required as well as the social institutional field where the subjectivity of the social community can be created, and the ecological movement in the ethical direction recognizing the vitality of nature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