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8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77~39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유치원 교사 266명에게 정서노동, 이직의도, 자기조절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자기조절력은 보통 수준 이상, 이직의도는 보통 이하의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변인간 관련성은 유치원 교사의 전서노동과 이직의도는 부적상관을, 자기조절력과 이직의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정서노동과 자기조절력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은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정서노동이 잦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조절력을 높이도록 지원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o this end, this study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tendencies in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and self-regulation that preschool teachers show? Second,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and self-regulatio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us, this study gave a questionnaire survey to 266 teachers serving at preschoo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to determine their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and self-regul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preschool teachers are higher than average in tendency towards emotional labor or self-regulation, but lower than average in tendency towards turnover intention. Next, as far as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re concerned, negative correlations exist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their self-regu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le positive correlations exist between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self-regulation. In addition, self-regulation has a full effect of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All of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set up a way of reducing preschool teachers’ turnover rate and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of those teachers who often face emotional lab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8).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3), 377-398

MLA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3(2018): 377-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