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지성애 조유진 연규승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59~3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지적능력검사(K-WISC-IV), 유아공감능력검사, 적응기술검사(K-BASC-Ⅱ), 유아낙관성검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이 유아의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이 지적능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의 하위요인인 ‘기능적 언어소통’이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행복’이 지적능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Moreover, in this research try to explore indic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influence their intellectual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S cit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IV), the Affective Situation Test for empathy ability, 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II), and the Optimis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Seco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aptive skills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intellectual ability; furthermore, empathy ability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adaptive skills of children, ha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In addition, ‘happines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pathy, was additional a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