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이용수 8
- 영문명
-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Effect of a Music Drama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Sexual Educatio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연 김수향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261~2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P시 소재 K, L, J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58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20명, 통제집단 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2016년 11월 7일부터 2017년 2월 8일까지 주3회, 12주 36회 동안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활동, 비교집단은 성교육 그림책의 일반적인 활동(등장인물 특징분석),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누리과정 통합 활동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성지식 및 성지식의 하위요인이 증진되었고,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musical drama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sex education picture books and to verify the effects. For the research, 58 children aged 5 years in three kindergartens of P city, Gyeongsangbuk-do were selected as subjects (19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20 for comparative, and 19 for control).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for a total of 36 sessions from November 7th, 2016 to February 8th, 2017.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in the musical drama program using the sex education picture boo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common activities using sex education picture books(such a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Nuri-course activities according to life theme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advancement in gender knowledge and its subordinat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목차
Ⅰ. 서론
Ⅱ.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Ⅲ. 연구방법
Ⅵ.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