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ultural Capital, Art Appreciation Ability, Art Teaching Efficacy Level and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영 전유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15~3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과,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유아미술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3학년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과 다차원 미술감상능력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미술교수효능감은 보통 수준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들 세 변인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자본과 미술감상능력이 이들의 미술교수효능감과 관련됨을 밝힘으로써, 교사양성과정에서 유아미술지도 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own cultural capital, art appreciation ability and the art teaching efficacy level and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70 third grade student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ultural capital and art appreciation ability were normal, and art teaching efficacy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capital, art appreciation ability and art teaching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improve their art teaching efficacy by promoting cultural capital and art appreci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