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ion Anxiety in Traditional Fairy Tales: Focusing o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미경 박선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37~17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의 분리불안 내용을 내포한 전래동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분리불안의 과정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래동화에서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41권을 선정하고, Vladimir Propp의 ‘민담형태론’의 내용을 참조하여 추출해 낸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의 과정 표상 요소들로 그림책 내용 분석준거를 구성하여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발생과 극복 해소는 내적 갈등을 야기하는 분리불안의 전조, 갈등 극복을 위한 낯선 세계로의 떠남, 자신과 타인에 의한 분리불안의 극복 시도, 분리불안의 해소에 의한 행복한 결말로 나타났다. 주인공들은 스스로 자립을 인식하거나, 미숙한 상태에 있어 내몰리거나, 부모의 부재에 의해 떠나는 등 다양한 심리 요인에 의한 불안에 직면하게 되어 낯선 세계로 경계 넘기를 하지만, 내적 갈등을 통한 노력으로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고 비로소 독립된 존재로 분리되면서 심리적인 목적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는 분리불안이 전래동화에 나타난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분리불안 관련 그림책 연구와 창작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eparation anxiety commonly seen in fairy tales and examine how separation anxiety in fairy tales emerges and is overcome. For this study, a total of 41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of separation anxiety developed by the Vladimir Propp’s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eparation anxiety was based on such ‘portents of separation’ as characters’ voluntary separation, being separated by the sender, mother/father’s death, forbidden violation, being deprived by the antagonist and bad mother’s jealousy.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t means that children should explore, research, and experience adventures in order to grow up. At this point, there were some conflicts that children can overcome for themselves, while other conflicts were so difficult to resolve that they received help from their supporters or were protected from evil by magical items, which means a character of children having a growth challenge as an inexperienced person. Lastly, as for the ‘ending aspects of characters’, they overcame the separation anxiety as a happy ending with all the anxiety elements completely removed, a happy ending with the anxiety elements not removed or partially removed, and a happy ending with nothing to punish. It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storyline of fairy tales, but there is always an important rule from a psychological asp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separation anxiety embedded in fairy ta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include the provision of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fairy tale picture book related to separation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