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이용수  7

영문명
Analysis of Discourse in Picture Books Used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제희선 박리나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37~35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담론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성교육의 내용 및 실천과 관련된 비판적 사유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그림책 9권을 중심으로 Faircough의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서를 위한 통제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둘째, 목적을 위한 협력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셋째, 공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나 타인과 환경에 대한 대상화, 타자화 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넷째, 동질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며 이는 고정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담론에 따라 인성교육이 다원적인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회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인성교육을 위해 동화책을 사용하는 성인 역시 담론의 재생산자가 아닌 반응적인 청자로서 유아의 반응과 배움의 과정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aise critical thinking about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discourse focusing on picture books which are used in children’s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Fairc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8 children's books that were used in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ourse reveals that the individual has to conform to and follow the control. Second, discourse about the passive role of individuals for macro goals was revealed. The value of cooperation is a priority rather than individual voluntary and free negotiation. Third, uniformity of subjectivity of elderly people and women appeared. Fourth, for the coexistence and co - operation, the discourse emphasizing the normalized and idealized standards was revealed, and separation and exclusion appeared if they did not meet these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urn personality education in a direction that respects the pluralistic value. Thus, the adult who mediates the picture book needs to listen to the reaction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hild as a responsive aud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제희선,박리나. (2018).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3), 337-357

MLA

제희선,박리나.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3(2018): 337-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