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ild's Room in Maurice Sendak's Trilog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71~1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중심으로 그림책 속 아이의 방이 갖는 공간적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그가 인간의 삶과 정신세계를 담고 있다고 소개한 바 있는 세 권의 그림책은 모두 아이(맥스, 미키, 아이다)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각 인물이 자신의 방으로부터 출발하여 환상의 공간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방으로 돌아오는 구조의 플롯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세 작품을 통해 아이의 방이라는 공간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먼저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서 맥스의 방은 경계가 해체되는 이질성과 복수성의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깊은 밤 부엌에서』 속 미키의 방은 신체의 변이를 통한 생성과 창조의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끝으로 『잃어버린 동생을 찾아서』에서 아이에게 방은 주체를 찾아가고 확장하는 공간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그림책 속 유아의 방을 복합적이며 역동적 생성과 창조를 거듭하는 공간으로서 바라봄으로써 그림책 공간을 단순한 물리적 배경이상의 의미가 있는 대상으로 새롭게 이해해보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child's room in picture books centered on Maurice Sendak's trilogy. All three picture books that he introduced as containing human life and spiritual world appeared as the main characters of children (Max, Mickey, and Ida), and each child started from his/her room and moved to a fantasy space and returned to their room agai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child's room through the three works, Max's room in the "Where the wild things are" can be seen as the space of heterogeneity and plurality in which the boundary is disassembled. Next, in the "In the night kitchen", Mickey's room is a space of creation and generation through the mutation of the body. Finally, the child's room appears to be a space to find and expand the subject in "Outside over there". In this wa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pace in the picture book as a complex, dynamic and creative space beyond a simple physical backgroun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3부작 속 아이의 방의 공간적 의미
Ⅲ.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자연 · 사회 · 인간의 관계 탐색: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 만1세 새싹반 영아들의 놀잇감 활용의 의미 탐색
- Maurice Sendak의 3부작을 통해 본 방(room)의 공간적 의미 탐색
- 전래동화에 나타난 분리불안의 특성연구 : 그림책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기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 : 전자책 전용 기기와 일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 한국 아버지의 감정코칭 양육태도 검사도구 예비 타당화연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문화자본, 미술감상능력, 미술교수효능감 수준 및 관계
- 면지 탐색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사실그림책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미지 분석
-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