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 of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f an Infant Teacher on Teaching Immers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515~5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요인으로서의 행복감과 자기관리전략으로서의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사의 교수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G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셀프리더십, 교수몰입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몰입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통제력, 자율성,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가 교수몰입의 36%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보상의 분별, 자기관찰, 좋은 면에 초점 맞추기, 환경조성이 교수몰입의 54%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은 교수몰입의 51%를 설명하였으며 셀프리더십이 행복감보다 상대적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삶에서 행복감을 느끼고 자기 관리 전략인 셀프리더십이 높은 교사가 수업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사의 교수몰입을 위한 정서적 요인을 고려하고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ppiness as an affective factor and self-leadership as a self-management strategy of an infant teacher on teaching immersion. And it has a purpose of seeking a measurement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this, 21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participated and their happiness, self-leadership and teaching immersion were estimated. As a result, firstly, it was shown that happiness and teaching immersion of an infant tutor had positive relationship and it was also shown that environmental controlling ability, autonomy, self-accepta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explain 36% of teaching immersion. Secondly, it was shown that self-leadership and teaching immersion of an infant teacher had positive relationship where differentiation of self-compensation, self-observation, focusing on a good side and environment development explains 54% of teaching immersion. Lastly,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explained 51% of teaching immersion where self-leadership relatively had high level of explanation power. Such result signifies that a teacher who feels happiness in life and has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as a self-management strategy has high level of teaching immersion and it also implies that support is in need to consider affective factors and self-leadership improvement for a teacher’s teaching immers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15).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 (2), 515-537

MLA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2015): 515-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