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5-year-old Children's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in Peer Pairing Condi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전유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21~3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만 5세 유아가 언어능력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능력 상위집단 유아와 하위집단 유아가 짝을 지어 협동적 언어활동을 수행하면서 14주 동안 경험한 것을 관찰, 면담 등을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능력 상위집단 유아의 경험은 ‘지식과 기술 정교화하기’, ‘일방적 주도에서 분담과 배려로 함께 이끌기’로 나타났고, 언어능력 하위집단 유아의 경험은 ‘보다 쉽게 지식과 기술 습득하기’, ‘의존성에서 적극성을 보이며 함께 이끌기’로 나타났다. 유아와 교사는 또래 쌍 구성활동의 의미로 ‘또래와 함께 해서 즐거운 활동’이라는 사회·정서적 측면과 ‘또래와 함께 해서 유익한 언어활동’이라는 인지적 측면의 가치를 드러냈다. 이 연구에서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유아의 경험 분석을 통해 협동적 언어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아를 위한 언어교수-학습방법 적용에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 year old children’s differentiated experiences while they participated the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in a peer pairing condi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level group and low-level group, after a language ability test, and then they made pairs. Each pair consisted of a child from the high-level group and a child from the low-level group.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for 14 week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high-level group elaborated their previous knowledge and skills and changed one-sided leading into leading with assigned roles and consideration to peers while they were solving the problems with their peers. Second, children in low-level group easily learned knowledge and skills from peer tutors and they showed more activeness and participation. Third, both children and teacher recognized that cooperative language activities in a peer pairing condition were interesting and useful. So I confirm the educational values and effects of cooperative activities for early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옛이야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그림책 재화에 대한 연구 -「우렁 각시」이야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마이크로티칭 경험의 의미
-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분석
-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과학·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신화적 그림책「바리공주」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 고찰
-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 국내·외 장애를 주제로 한창작 그림책 등장인물과 갈등 관계 분석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아교육에서의 R-러닝을 중심으로
-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 분석심리학적으로 본 동화「성냥팔이 소녀」
- 안데르센의「눈의 여왕」과 디즈니의 ‘겨울왕국’의 상업적 영향력
-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 전래동화의 윤리 미학적 내용분석
- R-러닝 생태계의 통합 활동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로봇수용성, 언어표현력, 사회성 간의 관계 연구
- 외국병원사례를 통해 본 입원 영 유아를 위한 보육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의 시사점 - 영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
- 한 어린이집에서 10년 이상 장기근속한 보육교사들의 이야기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