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Literature Response Activ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정근수 이차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85~11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그림책 읽기 교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 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을 선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즉 그림 훑어보기-페라텍스트 읽기-글과 그림 읽기-공동 의미 구성하기 단계를 각각 구성하였다. 둘째,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교수 모형을 적용한 교육계획안을 기반으로 하여 그림책 읽기를 수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일반적 그림책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처치는 그림책 12권을 12주 동안 주 3회 읽어주었으며, 그림책 12권을 읽어주는 순서는 두 집단이 동일하였다. 연구결과 교수 모형에 따른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분석적 반응, 상호 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 투영적 수행적 반응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아 그림책 읽기 교수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s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and verified the model. First, we set a goal of teaching of reading picture book, and deducted a principle of teaching model. Also, we selected the content and means of education and organized each phase of picture book teaching model-looking through pictures, reading paratext, reading words and pictures, and coconstructing meaning. Second, we verified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 for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46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performed picture book reading based on the teaching model, and control group performed normal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Participants were read twelve picture books, three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The sequence of the books were same for both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picture book reading following the teaching model is effective for improving children’s analytical response, intertextual response, personal response, transparent response and performative response. We concluded that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developed by this study has an effect on activation of children’s response to literatu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model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activation of response to literature, and becomes a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of picture book reading teaching fo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근수,이차숙. (2015).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 (2), 85-114

MLA

정근수,이차숙.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2015): 85-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