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n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안나 고영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51~3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실태 및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종사하는 151명의 방과 후 과정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방과 후 과정은 한 학급으로 15~20명 미만, 혼합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을 가지고 누리과정 이후 오후 6시까지 운영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에 비해 방과 후 과정 담당교사들은 11~15명 미만으로 유아 수가 감소하고 동일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방과 후 과정의 일과는 휴식과 자유놀이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기본 생활습관을 기를수 있는 교육내용의 실행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과정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방과 후 과정의 적절한 운영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현실적인 방과 후 과정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consider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in after school programs. This study involved 151 after school teachers in 30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Kyonggi-do district and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had one afternoon class which has 15 to 20 children operating until 6 o'clock using Nuri curriculum. However, after school teachers expected the afternoon class should consist of 11~15 children per class of same age, focusing on basic daily life habits, free play activities, and relaxation.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perceptions toward proper management for after school class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d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reflected the basic opinion in private kindergarte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옛이야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그림책 재화에 대한 연구 -「우렁 각시」이야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마이크로티칭 경험의 의미
-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분석
-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과학·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신화적 그림책「바리공주」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 고찰
-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 국내·외 장애를 주제로 한창작 그림책 등장인물과 갈등 관계 분석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아교육에서의 R-러닝을 중심으로
-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 분석심리학적으로 본 동화「성냥팔이 소녀」
- 안데르센의「눈의 여왕」과 디즈니의 ‘겨울왕국’의 상업적 영향력
-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 전래동화의 윤리 미학적 내용분석
- R-러닝 생태계의 통합 활동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로봇수용성, 언어표현력, 사회성 간의 관계 연구
- 외국병원사례를 통해 본 입원 영 유아를 위한 보육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의 시사점 - 영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
- 한 어린이집에서 10년 이상 장기근속한 보육교사들의 이야기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