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PBL Application on Lifestyl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현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539~5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생활지도 과목에 PBL을 적용해보고 이의 학습효과를 살펴봄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PBL은 전라도에 소재한 K대학 아동학과 3학년 23명(남학생 3명, 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유아생활지도’ 시간 중 총 7주로 진행되었다. 첫 주는 오리엔테이션, 2-4주는 모듈 1(기본생활습관 문제), 5-7주는 모듈 2(사회 정서적 문제)로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성찰저널과 학습만족도 평가, 팀 내 동료, 개별면담, 교수일지가 사용되었고, 이를 강인애(1997)가 제안한 PBL 학습목표에 근거하고 개방적 코딩방식에 의거하여 학습내용면과 학습태도 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전문적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특히 유아 생활지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됨으로써 교사가 된 이후에도 PBL을 통해 배운 지식이나 적극적 교사의 태도를 적용하겠다는 실천의지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생들은 무엇보다도 처음에 어렵고 자신없어하던 모습에서 점차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자율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하였으며, 어려움 속에서 협력해 가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PBL은 학습의 내용면이나 태도 면에서 모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PBL by applying PBL and looking for educational effects of PBL to the course of lifestyl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Twenty-three third grade students(3 men and 20 women) listening to the course in 'lifestyl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in K university in jeonbuk area participated for 7 weeks(first week for orientation, weeks 2-4 for module 1, and weeks 5-7 for module 2). To analys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BL while conducting PBL activities, reflection journals, learning satisfaction scales, team member evaluations, individual interviews, and teacher's journals were collected. The fina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eaned professional knowledge, problem solving methods, and showed the intention that they would apply the knowledge and the methods used during this program in the field because they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guidance of young children's activities. Second, students changed their confusion at an early stage into more confident attitudes, an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more actively by themselves. They also showed collaborative attitudes even in difficulties. In conclusion, PBL was verified 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producing educational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옛이야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그림책 재화에 대한 연구 -「우렁 각시」이야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마이크로티칭 경험의 의미
-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분석
-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과학·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신화적 그림책「바리공주」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 고찰
-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 국내·외 장애를 주제로 한창작 그림책 등장인물과 갈등 관계 분석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아교육에서의 R-러닝을 중심으로
-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 분석심리학적으로 본 동화「성냥팔이 소녀」
- 안데르센의「눈의 여왕」과 디즈니의 ‘겨울왕국’의 상업적 영향력
-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 전래동화의 윤리 미학적 내용분석
- R-러닝 생태계의 통합 활동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로봇수용성, 언어표현력, 사회성 간의 관계 연구
- 외국병원사례를 통해 본 입원 영 유아를 위한 보육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의 시사점 - 영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
- 한 어린이집에서 10년 이상 장기근속한 보육교사들의 이야기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