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마이크로티칭 경험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aning of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flective Journa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안지령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2호, 443~4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마이크로티칭을 시행한 후, 반성적 저널을 작성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 스스로 자신들의 수업과정에 대해 반성을 해 보면서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 3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이들의 시연수업을 촬영 및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 각자가 작성한 개인 저널을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티칭 경험은 첫째, ‘교사’로서 다가가는 과정, 둘째, 창의성과 자신감에 대한 갈망, 셋째,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과정이었다. 이는 교사교육과정에 있어 체계적인 마이크로티칭 수업의 계획 및 실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micro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mock class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To do so, the mock clas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of microteaching method: planning the class, first trial, feedback, second trial(re-teaching), and feedback. Also, various other techniques such as video recording, and reflective journal analysis were used to study teachers‘s experiences of microteaching in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micro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meanings 1) becoming a 'teacher' 2) aspirations toward creativity and confidence 3) learning through trial and error. As a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ck class experiences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gave the teacher's positive influence to their affective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practiced microteaching have shown a lot of reflection more than expected.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experiences of microteaching and refl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마이크로티칭의 의미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 R-러닝 실천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옛이야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그림책 재화에 대한 연구 -「우렁 각시」이야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훈육유형 비교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마이크로티칭 경험의 의미
- 독일어권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 분석
- 또래 쌍 구성을 이룬 협동적 언어활동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수준별 경험 분석
-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과학·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신화적 그림책「바리공주」에 나타난 샤머니즘적 양상 고찰
-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 국내·외 장애를 주제로 한창작 그림책 등장인물과 갈등 관계 분석
- 지능형 로봇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아교육에서의 R-러닝을 중심으로
-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 분석심리학적으로 본 동화「성냥팔이 소녀」
- 안데르센의「눈의 여왕」과 디즈니의 ‘겨울왕국’의 상업적 영향력
-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 전래동화의 윤리 미학적 내용분석
- R-러닝 생태계의 통합 활동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로봇수용성, 언어표현력, 사회성 간의 관계 연구
- 외국병원사례를 통해 본 입원 영 유아를 위한 보육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의 시사점 - 영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
- 한 어린이집에서 10년 이상 장기근속한 보육교사들의 이야기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