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이용수  0

영문명
An Andragogical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s’ Experience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윤선응(Suneung Yun) 하지영(Jiyoung Ha)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309~32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그 의미 형성과정을 안드라고지 이론의틀에서 분석하였다. 30대 이상 성인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핵심적인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으로나타났다. 첫째, 참여자들은 교양교육을 실생활, 가족관계, 직업적 경로와 밀접하게 연결된 실천적학습의 장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경험을 재해석하고 개인 정체성을 확장하는 매개로활용하였다. 특히 실용적 지식에 대한 요구는 기능적⋅직업적 역량을 넘어 인문학적 학습 욕구로 확장되는 경향을 드러내었다. 둘째, 학습 과정은 성찰과 심리적 치유를 통해 내재적 동기와 자기주도성을함양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안드라고지의 핵심 원리와 밀접하게 맞닿아 있었다. 셋째, 성인학습자들은 대학의 제도와 교수⋅학습 문화 전반에 걸친 성인 친화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수동적수용자가 아닌 상호 존중에 기반한 학습 환경의 공동 설계자로서 주체적 정체성을 드러냈다. 이러한결과는 고전적 안드라고지 이론의 의의와 함께 그 한계도 드러낸 것으로, 성인학습자의 삶의 맥락을반영한 이론적 재구성과 실천적 확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이 자기 성장에서부터세대 간 대화와 시민적 참여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명하며, Knowles의 고전적 틀을넘어 다양한 성인학습 이론과의 비판적 접합을 통한 포용적이고 성찰적인 고등교육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dult learners’ experiences of learning and meaning-making in university-level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andragogy. Drawing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earners aged 30+, thematic analysis yielded three principal findings. First, participants perceived general education as a practical learning space intertwined with everyday life, family relations, and work trajectories, using the curriculum to reinterpret prior experiences and (re)construct identity. Notably, their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encompassed a growing humanistic orientation beyond functional skills. Second, learning processes promoted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irection, often mediated by reflection and psychological healing—features consonant with core principles of andragogy. Third, participants called for adult-responsive transformation of university systems and pedagogical cultures, positioning themselves as co-constructors of mutually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s rather than passive recipient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illuminate both the value and the limits of classical andragogy, indicating a need to extend the theory in light of adults’ lived realities.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general education to serve as a platform not only for personal growth but also for intergenerational dialogue and civic participation. Ultimately, it calls for critical engagement with a broader repertoire of adult learning theories beyond Knowles’ framework to inform a more inclusive and reflexive model of higher education.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선응(Suneung Yun),하지영(Jiyoung Ha). (2025).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교양교육연구, 19 (5), 309-325

MLA

윤선응(Suneung Yun),하지영(Jiyoung Ha).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교양교육연구, 19.5(2025): 309-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