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Core Competency Improve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halleng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영(Eun-Young Kim) 임신일(Shin-Il 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81~2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교양교육 만족도, 학업도전,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에서 교양교육만족도가 핵심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도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교양교육 만족도가 학업도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실시하는 교수⋅학습 과정 설문조사 중 2022년 학생 설문(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대학 95개 45,424명이었으며, 결측치를제외한 36,320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Macro PROCESS(모형 7)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양교육 만족도는 학업도전, 핵심역량 향상,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학업도전은 핵심역량 향상,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핵심역량 향상은 교수-학생상호작용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사이에서학업도전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양교육만족도가 학업도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 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효과 크기가 달라짐을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교육 만족도의 교육적 의미와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halle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core competency improve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influe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on academic challenge.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22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tilize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95 four-year universities (45,424 students). After excluding missing cases, and a total of 36,320 students were analyzed. SPSS Macro PROCESS (Model 7)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challenge, core competency improve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cademic challen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e competency improve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ore competency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cond, academic challen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core competency improvement.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challenge, indicating that the effect size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