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Open-Major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Using the Delphi Method : A Case Study of National University A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소(Yunso Lee) 김은예(Eunye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45~26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 A대학에 2025학년도부터 도입된 전공자율선택제의 교육효과성을 종단적으로측정하는 도구 개발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타 대학 사례를 검토해 핵심 요인을 도출한 뒤, 고등교육전문가 12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도구는 자율전공학부입학생용 66문항과 학과⋅학부 입학생용 37문항으로 구성되며, 입학 후-1학기 종료-1학년 종료의 세시점에서 상황-투입-과정-산출 영역을 체계화하였다. 이 도구는 전공탐색 경험, 교양⋅비교과 참여,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 소속감, 교육만족도, 학업성과 등 학생 경험 관점에서 진단할 수 있는 측정틀을 제시하며, 대학 차원의 성과관리⋅교육과정 질 관리, 신입생 맞춤형 지원정책 설계, 교양교육-전공탐색 교과의 연계 및 개선에 활용 가능한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longitudinal instrument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Open-Major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introduced at National University A in 2025. Drawing on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institutional cases, we identified core domains and conducted three Delphi rounds with twelve higher-education experts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The finalized instrument comprises 66 items for entrants to the Division of Open Majors and 37 items for department-admitted students, structured under the Context-Input-Process-Product (CIPP) framework and administered at three time points (entry, end of the first semester, end of the first year). Designed from a student-experience perspective, the tool enables longitudinal assessment and tracking of major exploration, participation in general education and co-curricular programs, faculty-student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instrument provides actionable evidence for institu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and curriculum quality assurance, the design of tailored first-year support policies, and the alignment and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with exploratory cour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내용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