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cademic Essay Titles among Korean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은(Jung-eun Park) 황정현(Jung-hyun Hw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이 지닌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이를 토대로 학술적 글 제목 짓기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술적 글 제목의 특성을 ‘내용’과 ‘표현’ 두 범주 및 하위 항목 여덟 가지로 선별하여 이를 반영한제목 목록을 작성하였고,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에게 제시하여 평가를 하게 하였다. 여기에주관식 질문을 더하여 개인별 인식을 파악하였다.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 ‘학술적 글로서 수준이 적절하지 않은 제목’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모두 대학 글쓰기에 적합한 학술적 글의 수준 자체를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연구 대상의 범위가 적절하지 않은 제목’과 ‘연구 대상에 대해 객관화가되지 않은 제목’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적인 측면에서는 ‘간결성을어긴 제목’에서 한국인과 외국인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는데, 한국인은 학술적 글의 목적과 특성 등에대한 배경지식이 학술적 글 제목의 적절성 판단과 연결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외국인에게는 이러한면모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생을 위한 학술적 글 제목 작성 교육 방향을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regarding academic essay titles, with the aim of explor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itle construction in academic writ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itle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content and expression—with eight sub-dimensions, which were then reflected in a set of sample titles. These titles were evaluated by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supplemen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o capture individual percep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th groups tended to highly evaluate title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academic writing, suggesting a general lack of ability to discern the academic adequacy of titles at the undergraduate level. Furthermore, compared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international students demonstrated weaker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inappropriate scope and lack of objectivity in titles. In terms of expression, differences emerged in the evaluation of overly complex titles: Korean students’ judgments were informed by their background knowledge of the purposes and conventions of academic writing, whereas such connections were not evident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pedagogical directions for enhancing undergraduate students’ competence in constructing academic titles are propos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및 학술적 글 제목 특성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학술적 글 제목 특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