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ementation of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o Foster Multicultural Competence : Focusing on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권미경(Migyoung Kwon) 서은숙(Eun-Sook Se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95~3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되는 교양 다문화교육에 생성형 AI의 활용을 접목한 강좌를 개설하여 수업을진행한 후 그 효과와 의의를 탐색하였다. 2025년 1학기에 개설된 세 개의 다문화 교양강좌에서 수강생들은 공통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의 조화로운 공존을 도모하고 문화다양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팀별로 모색하였으며, 이를 마지막 주차에 발표하였다. 세 개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결과물을 제작함에있어 학생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D 대학 I 연구소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15주차강좌 전후에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 및 분석한 결과, 강좌 후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이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수업 만족도도 높게 나왔다. 다문화 역량 중에서는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이 크게 상승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다문화와 생성형 AI를 접목하여실제 수업에 적용한 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incorporating generative AI into general education multicultural courses at the university level.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5, three multicultural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offered, in which students collectively sought ways to promote harmonious coexistence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o foster cultural diversity through team projects.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during the final week of the semester. Across all three course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utilize generative AI in the production of their outputs. Using a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I Research Institute at D University, a pre- and post-course survey measuring multicultural competence was conducted and analyzed over the 15-week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overall multicultural competence improved after the cours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was also high. Among the various dimension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growth.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represents the first attempt to integrate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generative AI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Organization Science
- Psychological Assessment
-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Journal of Liberal Arts
-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 Korean Education Inquiry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 The Multicultural Child and Youth Studies
-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Study on Liberal Education Practice
-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Multiculture & Peace
- Computers & Education
- Contemporary Society and Multiculture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